Page 46 - 2021교육계획서
P. 46

▣2021  학교교육계획서▣



                  다. 추진 일정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요 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학교평가  자체평가위원회 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년
                   평가준비  계획수립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2020  학교평가  결과 환류 및 2021 학교평가 계획  수립                  3월~4월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1학기 교육활동 자료  수집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년
                        중간점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2학기 교육활동 계획  수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월~9월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년
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시행           •  공통지표와 자율지표에 대한  자료 수집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월~12월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학교평가  결과 분석을  통한 학교평가 결과보고서 작성                         2022년
                      보고서  작성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학교평가  자체평가위원회  심의학교평가의 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1월~2월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학교홈페이지 및 정보공시에  학교평가  결과보고서 공개                         2022년
                    결과공개  및  활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•  단위학교  2021학년도  학교교육개선 자료로 활용                          2월~4월

                  라. 학교 평가 지표

                       (1)  공통지표

                  대영역                 소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지표


                     1.      1-1.                        1-1-1.  인천교육  비전  공유
                삶의  힘이  교육과정  편성  및  운영                  1-1-2.  역량중심  교육과정  편성·운영
                  자라는
                 교육과정 1-2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-2-1.  교원의  수업역량  신장
                (미래교육) 배움이  있는  수업                       1-2-2.  학생참여중심  수업  및  평가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-1-1.  민주적  학교  운영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-1.
                     2.      학교자치  기반  조성                2-1-2.  학생자치  활성화
                  실천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-1-3.  학교인권교육  강화
                  참여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-2-1.  학교공간혁신
                  민주적
                  공동체        2-2.                        2-2-2.  학부모  학교교육  참여  활성화
                (소통교육)       교육공동체의  소통·참여·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2-2-3.  마을교육공동체  확대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-2-4.  독서인문교육  활성화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-1-1.  안전한  학교생활  지원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-1.
                     3.
                 안전하고        안전하고  건강한  학교생 3-1-2.  건강한  학교생활  지원
                  따뜻한        활                           3-1-3. 관계중심 생활교육 및 학교폭력예방교육
                 교육복지
                (안심교육)       3-2.                        3-2-1.  교육배려학생  지원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뜻한  돌봄과  배려                3-2-2.  학업중단예방  지원





               38∣인항고등학교
   41   42   43   44   45   46   47   48   49   50   5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