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4 - 2023학년도 인항고등학교교육계획서
P. 4
인항고등학교 교가(校歌 ) 소개
■ 작사 조병화(趙炳華 )(1921.5.2.~2003.3.8.)
경기도 안성 출생, 삶과 죽음, 그리고 인생의 본질에 대한 광범위한 문제를 쉬
운 일상의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많은 독자와 솔직한 대화를 이루어 왔고 제물포
》
》
고등학교 교사 역임. 시집으로는 시집으로 《 하루만의 위안 , 《 인간고도 ,
》
《 밤의 이야기 , 《 시간의 숙소를 더듬어서 , 《 공존의 이유 , 《 남남》 등이
》
》
있다. (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)
■ 작곡 최영섭(崔永燮 )(1929.11.28.~ 현재)
강화에서 출생하였고 인천으로 이주하여 창영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인천중학교
재학 중에 서울 경복중학교로 편입하여 임동혁 문하에서 작곡법을 사사하였다.
1947 년 서울 경복중학교 학년 때 첫 작곡 발표회를 개최하였고 오르간 연주가
6
.
》
》
로도 데뷔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《 그리운 금강산 ,《 우리는 영원한 해병 ,《 고
!
》
요한 아침의 나라 ,《 오 사랑하는 나의 조국 ,《 해 뜨는 나라의 아침 ,《 동해
》
》
에 해가 뜨니 ,《 조국의 화려강산 좋을시고 ,《 남산에 올라》 등이 있다. ( 한국
》
》
민족문화대백과사전)
■ 우리 학교 교가와 관련된 일화(逸話 )
시인 조병화는 제물포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던 시절 송도(松都 ) 앞바다를 바라
.
보며 후학들이 서해의 파도처럼 높은 기상을 펼치길 염원하였다 마침 인천항운
노동조합 조합원들의 학교를 세우고자 하는 열망과 시인 조병화 작곡가 최영섭
,
의 뜻이 일치해 본교 교가를 쓰고 곡을 붙이게 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