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39 - 2022학년도 인항고등학교교육계획서
P. 39

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▣ 꿈과  끼를  키우는  교과중점학교 인항▣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`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. .       우 리 말   바 르 고    예 쁘 게   사 용 하 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
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우리말 바르고 예쁘게 사용하기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1 1 1 1 1 1 1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적
               •  언어는  그  나라와  민족의  정체성이다 이러한  중요성에  비해  우리가  사용하는  우리말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변형되고  오염되고  알  수  없는  외래어의  범람과  인터넷  및  SNS                      에서의  속어와  약어  사용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으로  인하여  더이상  우리의  정체성을  대표할  수  없게  되었다 이에  우리가  사용하고  있는
                 우리말  오용을  구체적으로  살펴보고  그  올바른  사용을  위하여  우리말  사랑하기를  추진  목
                 표로  삼는다.
                  2 2 2 2 2 2 2  추 진  배 경  및 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        추진  배경  및  방향
                 1.   세대통합과  언어의  질을  높인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:   소셜미디어  등장  이후  하루가  다르게  새로운  조어가  등장하고  있다 신조어들은  특정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세대만이  의미를  공유하는  은어가  되고 익명성의  특성을  이용하여  비속어화가  되고
                     있다 이는  세대  간  의사소통을  원천적으로  막아버리는  장벽  역할을  하게  되었고  언어
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의  질을  낮게  만들었다.
               2.  한국어의  정체성  상실  예방  교육을  한다.
                   :   새로운  문화의  등장으로  그것을  지칭하던  외래어가  표준어로  인정되는  것은  당연한  것
                   이다.    그러나  기존의  대체가능한  우리말이  있음에도  불구하고  국적불명의  신조어들이
                   외래어라는  탈을  쓰고  무분별하게  사용되고  있다 이른바  콩글리쉬  등은  한국어도  아니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고  외국인도  이해  못하는  언어이다 이는  한국어는  지키고  새로운  문화는  외래어로써

                   한국어로  받아들이는  우리말의  정체성에  혼란을  준다.
               3.  민족  언어로서의  한국어를  지킨다.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:   남북언어의  이질화는  모든  면에서  피부로  느끼고  있다 한국어는  오랜  세월동안  한민족
                   을  하나의  울타리로  보호하고  정체성을  지켜주는  중요한  역할을  하였다 북한의  지나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외래어  배척과  우리말  신조어  등장 그리고  남한의  지나친  외래어  유입과  속어와  은어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
                   의  사용은  남북한  간의  분단과  민족  분열의  고착화를  낳게  되었다.
               4.  언어는  교육의  산물로서  개선가능하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:   언어는  유전자에  새겨진  것이  아니라  교육에  의하여  형성되는  환경의  산물이다 우리의

                   생래적  유전자를  바꿀  수  없지만  우리가  사용하는  언어는  끊임없는  교육과  관심으로  충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분히  조정할  수가  있다 인항고라는  작은  교육단체의  작은  물줄기가  올바른  우리말  사
                   랑이라는  큰  물줄기로  이어질  것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(
               5.  상시  언어폭력  예방교육  실시 캠페인  교육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.  교육  목표 및 시행  체계∣ 33
   34   35   36   37   38   39   40   41   42   43   44